참고: 아래 내용은 2017년 8월 이후 출시된 설치형 Twippy의 사용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크롬 확장기능으로 제공되었던 기존 Twippy는 이제 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으며, 2017년 중으로 지원 및 이용이 중단됩니다.
Twippy를 실행한 다음 우측 상단의 '환경설정 아이콘' > '세션 데이터 폴더 열기' 를 클릭합니다.
각 텍스트 파일에 대한 설명은 Twippy 사용 방법을 참고하세요.
Twippy를 실행해 둔 상태에서 후원, 구독 등 시청자의 이벤트가 생기면 텍스트 파일이 실시간으로 갱신됩니다. 따라서 XSplit이나 OBS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이 텍스트 파일을 읽어 방송에 표시해 주는 것이죠. 물론 텍스트 파일의 내용이 바뀌면 방송 화면에서도 바뀌게 됩니다.
그럼 이제 XSplit Broadcaster에 이 텍스트 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좌측 하단의 '소스추가'를 클릭하신 후 '텍스트'를 클릭해주세요.
'커스텀 스크립트 사용'에 체크 후, '스크립트 편집'을 눌러주세요.
Load Text from Local File에 체크해 주세요.
주의: "Remote URL"이 아닙니다. 선택에 유의해주세요.
File Path 오른쪽에 있는 점 3개 버튼을 눌러주세요
최근 후원한 분과 금액이 저장되는 파일을 가져와 보겠습니다. 'most_recent_donator.txt' 를 선택 후 열기를 눌러주세요.
파일이 정상적으로 지정되었는지 확인 후 '텍스트 업데이트'를 눌러주세요.
기존에 Twippy를 실행해 둔 상태에서 후원한 내역이 있을 경우, 내용이 보일 것입니다. 내용이 보이지 않더라도 문제되진 않습니다. 우선 Ok를 눌러 주세요.
텍스트 파일에 내용이 없다면 후원이 들어 왔을 때 텍스트 파일이 변경되면서 내용이 채워질 것입니다. 아니면 메모장으로 열어서 아무 글자나 입력하셔도 됩니다. 추후, 후원이 새로 들어오면 새로운 내용으로 바뀌게 됩니다. 추가된 텍스트 오버레이를 드래그 해서 적당히 위치와 크기를 설정해주세요.
주의: 후원 테스트를 해도 내용이 변하지는 않으며 실제 후원, 팔로우 등에 한하여 텍스트가 업데이트 됩니다.
텍스트 오버레이가 스크롤되게 하려면 Text 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다음, 스크롤을 선택하고 방향과 속도를 적당히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